전체 글
-
출력제어 :: STDOUT/ STDERR / RedirectionScript/Shell 2020. 7. 14. 13:43
쉘은 스크립트언어이자 배치명령어이다. 이전에는 배치 스크립트라 불리기도 했다. Batch는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방식이다. A, B ... Z 단계별 처리에서 이를 연결시키는 것이라고 이해하면 된다. 각 단계는 실행결과인 표준출력 또는 표준오류를 제출한다. 이는 각 스크립트 실행에 대한 것이거나 또는 그 안의 명령어에 대한 것이기도 하다. 이를 조절하는 것이 재지시( Redirection )이다. 단계별로 시간이 오래걸리는 분석/처리프로그램에서는 Redirection 을 통해 해당 오류를 추적하고 문제를 해결하는데 쓴다. Bash Shell 로 확인하면 다음과 같다. # stdout :: ( 1 ) # stderr :: ( 2 ) # redirection :: ( > ) /bin/bash proc..
-
개발공부 :: 참조사이트IT/Common sense 2020. 7. 10. 17:10
개발공부를 크게 세가지로 한다. 1. 기술에 대한 공식 Document 2. 오픈소스에 대한 GitHub 소스 3. QnA 참조 ( Stack Overflow ) 4. 개발자 Blog 이 포스팅에는 공부에 참조하는 URL을 지속적으로 정리해보려고 한다. https://httpwg.org/ IETF HTTP Working Group We maintain and develop the Hypertext Transfer Protocol - the core protocol of the World Wide Web httpwg.org https://developer.mozilla.org/ko/ MDN Web Docs MDN 웹 문서 사이트는 HTML, CSS, 및 웹 사이트와 프로그레시브 웹 앱을 위한 API를 포함..
-
Docker :: Container / Image / VMPlatform/Cloud 2020. 7. 10. 13:45
도커는 환경구성 가상화 플랫폼이다. 시스템 개발과정 중에 환경구성은 구현기능의 근간이 된다. 하지만, 무턱대고 설치를 하다보면 서로 충돌이 나거나 병목현상을 일으키기도 한다. ( Port 나 메모리 등 여러이유가 있다. ) 하지만 해당문제는 설치된 패키지의 버전별로도 상이하여 개발자들이 이를 다 파악하거나 인지하기 어렵다. 심지어 일련과정의 세부항목별로 필요한 패키지가 서로 충돌되는 경우도 있다. 도커는 이러한 문제를 환경별 관리를 통해 해결한다. Docker의 개념 중 근간인 Container란 명칭도 이와 관계있다. 우선 도커는 환경구성별로 Container라 부르며, 컨테이너의 실행시킨 상태를 이미지( image ) 라 부른다. 개별 컨테이너나 이미지는 도커환경에서 이동이 가능하다. 주로 개발자 환..
-
스택 : 하노이 타워Daily Learning/Algorithm 2020. 7. 10. 04:43
■ Tower of Hanoi :: Algorithm of Stack ■ Count of Step :: 2n-1 ■ Asymptotic Complexity :: O(2^n) ■ Composite :: 1. Source 2. Auxilary 3. Destination ■ Method :: 1. pop 2. push 하노이타워는 스택알고리즘을 설명할 때 자주 사용된다. 알고리즘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. 1. A , B , C 세 기둥에서 N개의 원판이 있다. 2. A 기둥에 크기순으로 쌓여있는 원판을 C 기둥에 쌓아야 한다. 3. 원판은 크기순으로만 쌓을 수 있다. ( 더 큰 원판을 위에 두지 못한다. ) 위 조건을 해석하면 다음 논리를 이해할 수 있다. 1. ( 스택구조 ) :: 가장 큰 원판을 먼저 C에 ..
-
Package Manager :: ChocolateyPlatform/Window 2020. 7. 10. 00:42
Chocolatey 는 윈도우의 패키지매니저이다. OS의 패키지 매니저는 다음과 같다. 1. Linux Redhat 의 yum 2. Linux Ubuntu 의 apt 3. Windows 의 choco choco는 개발자에게 익숙한 환경을 구성할 때 편리하다. 기본적으로 Windows에서는 vim이나 grep 같은 linux 명령어가 제공되지 않는다. 하지만 우리는 WSL을 구성해서 리눅스 환경을 사용하거나 패키지매니저인 choco를 사용하여 linux기능을 설치할 수 있다. choco 또한 기본적으로 설치를 해주어야한다. https://chocolatey.org/install#install-step1 Installing Chocolatey Chocolatey is software management au..
-
Windows10 :: Bash 환경구성Platform/Window 2020. 7. 7. 11:51
윈도우에서 Shell Script 를 쓰기 위해서는 WSL ( Window Linux Subsystem ) 을 설치해야한다. 1. [ ❖ ] + S 를 눌러 Windows Application 을 검색기능을 사용한다. 2. Windows PowerShell 을 검색한다. 2-1. 서브시스템 사용을 허용한다. PowerShell 에 다음 명령어를 입력한다. Enable-WindowsOptionalFeature -Online -FeatureName Microsoft-Windows-Subsystem-Linux 3. Microsoft Store 을 검색한다. 3-1. 리눅스를 검색하여 설치한다. 4. Ubuntu 혹은 설치한 Linux Application 을 검색하여 실행시킨다. 5. MobaXterm 을 사..
-
curl :: Commanline URL toolScript/Shell 2020. 7. 6. 12:22
CURL :: - 여러가지 주요 프로토콜을 지원한다. - PHP, Perl, Ruby 등의 언어와 바인딩되어있다. - URL Server 와의 연결이 불안정할 경우, 이어받기 기능 ( -C / --continue-at :: 옵션에 - offset 을 주어 이어받기 지점을 지정할 수 있다. ) 을 사용할 수 있다. 하지만 종종 파일이 손상될 수 있어 파일손상체크가 필요하다. Download :: - HTTP 프로토콜에서 제공되는 URL을 통한 다운로드가 가능하다. - 다운로드 :: curl -O https://{다운로드파일 URL} - 파일손상체크 :: sha256sum {FileName} 참조 :: - 명령어 상세는 다음 링크를 참조한다. https://www.lesstif.com/software-arc..